본문 바로가기
농작물, 요리

황기..여름철 땀이 많이 날때, 면역력에 좋은 황기

by 아무일도 2022. 6. 25.
반응형

여름철에 더워서 땀이 많이 나는 경우와 기가 허해서 땀이 계속해 흐르는 증상이 나타날 때 황기가 좋습니다.

그리고, 황기는 소변이 나오지 않거나 설사 치료에도 좋을 뿐 아니라 , 면역력이 약해서 병치레를 많이 하는 분들에게는 황기를 꾸준히 드시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황기는 오래전부터 인삼 대용으로도 써 온 만큼 그 효과가 매우 좋습니다.

 

 

황기는 어떤 약재일까요?

황기는 콩과에 속하는 식물로 한의학에서 많이 사용도는 약초 중 하나입니다.

뿌리가 가늘고, 긴 원기둥 모양으로 주피가 벗겨져 있습니다.

황기가 약용으로 사용된 시기는 2000년 이상으로 아주 오래됐습니다.

황기에는 100개 이상의 물질이 존재하는데 다당류, 사포닌, 플라보노이드, 아미노산이 주로 들어있습니다.

 

 

황기의 약리작용

황기의 약리작용과 효능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강장작용

황기는 대표적인 강장제로 알려져있습니다. 황기 추출물이 만성 피로 증후군에 효과가 뛰어난다고 합니다.

 

2. 항산화,항염증 활성

황기는 항산화 작용이 뛰어나고 몸속에 있는 활성산소를 없애주며 염증을 없애는 역할을 합니다.

 

3. 혈압을 낮추는 효과

황기를 꾸준히 섭취하면 혈압을 낮추는 효과를 봅니다.

 

4. 면역기능 개선

황기의 추출물의 주사가 선천성 심질환 소아의 면역기능을 개선했다고 하며, 면역계 불균형을 개선하고, 세포자멸사 과정에도 영향을 미쳐 면역기능 개선에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5. 배뇨곤란

황기에는 나트륨 성분이 들어있는데 이 나트륨 성분이 신진대사 활성화를 일으켜 소변을 잘 볼 수 있도록 도와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6. 피부미용

황기에는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게 들어있어 피부의 저항력을 높여줄 뿐 아니라 피부의 잡티제거와 여드름 치료에도 효과를 봅니다.

 

7. 당뇨 효과

중국에서는 황기를 주사제나 경구제로 활용해 당뇨에 응용하고 있습니다.

황기가 췌장의 베타세포를 파괴하는 것을 억제하며 인슐린 저항성도 개선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8. 땀이 많이 나는 경우

황기의 효능에 땀을 멈추게 하는 효능이 있는데 , 여름 더위에 땀을 많이 흘리는 경우도 있지만, 기가 허해서 땀을 흘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피부가 허해진 기운 부족으로 인해 방어 기능이 떨어져 땀을 흘리는 경우이니 이럴 때 황기를 다려서 섭취하면 허해진 기를 회복할 수 있습니다.

 

9. 피로회복

황기는 원기회복과 체력을 향상시켜 주고, 맥박이 낮고 땀을 많이 흘리는 사람에게 아주 좋은 효능을 나타냄에 따라 오래전부터 인삼 대용으로 많이 써왔습니다.

 

10. 기침

황기는 만성비염이나, 노인성 기침감기와 기관지 천식에도 좋은 효과를 보인다고 합니다.

 

삼계탕 활용한 황기 섭취

삼계탕 끓일 때 포인트

1. 황기 물 끓이기

황기를 흐르는 물에 깨끗이 세척한 후에 물 4리터와 황기를 넣고 센 불 20분 중간 불 20분 정도 끓입니다.

2. 황기를 끓인 물로 닭을 넣고 끓이면 국물도 진할 뿐 아니라, 황기의 효과도 톡톡히 볼 수 있습니다.

이때 황기를 버리지 말고 같이 넣어서 끓여주면 됩니다.

 

 

황기와 맥문동 차로 끓여 마시기

 

황기 50g과 맥문동 50g을 주전자에 넣어 보리차 정도의 색깔이 나오게 끓인 후 섭취하면 면역력을 높여주고, 기운이 없을 때 원기회복에도 도움이 됩니다.

여름철에 가정에서 손쉽게 차로 끓여 마시기엔 아주 좋은 황기와 맥문동은 여름이 다가오기 전에 한, 두 달 전쯤부터 다려서 섭취하면 땀을 많이 흘리는 분들에게 더없이 좋습니다.

 

 

 

★황기는 독성이나 부작용이 거의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황기를 과잉 복용할 경우 복통과 설사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과잉 섭취는 하지 않는 게 좋다고 합니다.

황기를 적당량 섭취하면 설사 치료에는 아주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황기는 열이 심할 때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차로 마실 때도 열이 심할 때는 금하는 게 좋다고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