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작물, 요리

텃밭 작물에 해를 입히는 해충

by 아무일도 2022. 4. 15.
반응형

텃밭을 하다 보면 작물들에게 해가 되는 해충들이 많이 있다.

봄에 열무를 일찍 심어도 벼룩잎벌레를 막을 수가 없을 정도로 많이 발생한다.

작물을 괴롭히는 해충들은 어떤 게 있을까?

 

텃밭 작물을 괴롭히는 해충들

 

진딧물

감염 작물 : 모든 작물에서 발생한다.

감염 부위 : 잎 뒷면이나 어린싹에서 즙액을 빨아먹으며, 각종 바이러스를 매개한다.

발생원인 : 가뭄이 지속될 때 발생한다.

 

방제방법</p

비닐하우스 안에서는 방충망을 설치하여 외부에서 진딧물 침입을 차단한다.

천적으로는 콜레마니 진디벌, 진디 혹파리, 무당벌레 등이 있으며 노지 작물에서는 천적 보호가 중요하므로 천적에 안전한 농약을 사용한다.

 

배추흰나비

감염 작물 : 무, 배추, 양배추

감염 부위 : 유충이 어릴 때는 잎의 표피만 남기고 엽육을 가해 하나 다자란 유충은 잎줄기만 남기고 다 먹어치운다.

특히 가을과 봄에 피해가 심하고, 심한 피해를 받은 배추와 양배추는 결구가 되지 않는다.

발생원인 : 날씨가 선선하고 가뭄이 지속될 때 많이 발생한다.

 

방제방법

수확 잔재물을 태우거나 먼 곳에 버려야 한다.

기생성 천적으로 배추 나비 고치벌이 있다.

 

총채벌레

감염식물 : 오이, 고추 등

감염 부위 : 꽃봉오리, 꽃, 어린잎 등

발생 원인 : 고온 건조한 환경이 계속될 때 많이 발생한다.

 

방제 방법

텃밭에서는 방충망을 설치하여 외부에서 진딧물 침입을 차단한다.

 

응애

감염 식물 : 과실, 채소

감염 부위 : 잎, 뿌리, 열매 등

피해 : 고온다습한  환경을 좋아하며, 노지에서는 여름철에 발생이 많으며 주로 8월 이후에 피해를 입는다.

 

방제 방법 

매우 작아서 전문가가 아니면 육안에 의한 식별이 곤란하여 농가 자체의 예찰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므로 전년도에 발생이 확인된 농가는 또 발생할 것으로 보고 약제를 살포한다.

피해가 발생하는 시기는 낙화 후 유과기부터 과경이 20mm 이내일 때이므로 꽃이 모두 진 다음에 약제를 살포한다.

 

벼룩잎벌레

감염 작물 : 배추, 열무, 양배추 등

감염 부위 : 성충은 십자화과 작물, 사탕무 등의 잎을 갉아먹는다.

묘에 피해가 많고, 갉아먹은 구멍은 생육하면서 커진다.

유충은 땅속에서 무나, 순무의 뿌리 표면을 불규칙하게 먹고, 흑부병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늦은 봄부터 여름까지 피해가 심하다.

 

발생원인 : 년 4~5회 발생하며 땅속에서 번데기로 월동한다.

방제방법 

수확 잔존물을 소각하여 월동하는 유충을 없앤다.

 

굴파리

감염 작물 : 파, 오이, 호박 등

피해 : 유충이 파 잎에 굴을 파고 돌아다니며 불규칙한 한 줄 모양의 갱도를 만든다. 한 잎에 십여 마리가 발생하면 잎이 하얗게 되고, 어린 파는 말라죽기도 한다. 묘에서는 엽초부에 유충이 기생하고 이 부분부터 마르기 때문에 치명적인 피해를 받는다.

다 자란 유충은 잎의 표피를 뚫고 나와 땅에 떨어져 토양층에서 번데기가 된다.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전국적으로 피해가 심하게 나타난다.

 

발생 원인 : 년 4~5회 발생하며 땅속에서 번데기로 활동한다.

방제 방법 

병든 수확물을 소각해서 월동하는 유충을 없애야 한다.

 

거세미나방

감염 작물 : 고추 등 모든 채소류

감염 부위 : 거의 모든 채소류와 밭작물을 가해하며, 알에서 부화한 어린 유충은 군집생활을 하고 2~3령이 되면 분산한다.

발생이 많으면 작물의 줄기만 남기고 모두 먹는다.

발생원인 : 고온에서 많이 발생하고, 가온을 하는 시설에서는 연중 발생한다.

방제방법 

시설에서는 방충망을 설치하여 외부에서 침입을 막는다.

야간에 황색등 설치로 교미를 못하게 하여 알을 낳지 못하게 한다.

어린 유충 발생기에 약제를 살포해야 효과적이며, 유충은 야간에 활동하는 습성이 있어 작물에 붙어있는 아침이나 저녁에 약제를 살포하면 방제효과를 높일 수 있다.

곤충병원성 선충, 또는 곤충기생균을 이용한다.

곤충병원성 선충의 살포는 자외선이 없는 햇빛이 없는 시간에 하고 젖을 정도로 흠뻑 뿌려 줘야 한다.

 

무잎 벌레

감염 작물 : 무, 열무 등

감염 부위 : 잎

피해 : 충과 유충이 모두 잎을 가해한다. 성충보다는 유충의 섭식량이 많다.

잎 끝에서 아래로 갉아먹으며, 잎 표면의 엽육을 갉아먹어 잎 뒷면의 표피만을 남기므로 엽맥과 평행으로 백색 선모양의 식흔이 생긴다. 피해 입은 선단으로부터 갈라지고 갈색으로 변하여 말라죽는다.

 

방제방법

잎벌레는 연 1회 발생하는 해충으로 약제에 대한 감수성이 높아 단 한 번의 약제 처리만으로도 충분한 방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유충에 의해 잎이 하얀 피해 증상이 나오기 시작할 때 약제를 살포한다.

발생 상습지에서는 파종 시에 종자분의 처리제를 분의 처리하여 방제를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좀나방

감염 작물 : 배추, 양배추, 무, 유채, 파 등

감염 부위 : 채소의 잎을 가해하며 작은 구멍들이 뚫려 있어 발생을 알 수 있으며 성충, 유충, 번데기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피해 : 어린 벌레가 초기에는 엽육 속으로 굴을 파고 들어가 표피만 남기고 잎 뒷면에서 엽육을 갉아먹어 흰색의 표피를 남기며, 심하면 구멍을 뚫고 엽맥만 남기며, 잎 전체를 먹어치운다.

 

방제방법 

스프링쿨러에 의한 관수를 하면 유충이나 성충이 타격을 받게 되어 밀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십자화과 작물 이외에 다른 작물을 간작을 하면 천적  발생이 많아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천연살충제 만들기, 진딧물 살충제 만들기 (tistory.com)

 

천연살충제 만들기, 진딧물 살충제 만들기

작물이나 식물을 키우다 보면 진딧물 공격을 자주 받는다 이럴 때 편리한 방법으로 농약을 쓰는데 , 농약을 쓰지 않고도 진딧물을 없애는 방법이 있다. 진딧물뿐만 아니라 각종 병해충 예방에

saubun.tistory.com

 

반응형

댓글